모델링
논리모델링
- 엔티티 정의
- 관계정의
- 식별자 정의
- 상세 속성 정의
- 용어사전 정의
- 도메인 정의 http://www.gurubee.net/lecture/2872
- 데이터모델 검토 수퍼타입/서브타입 구분코드, 시작과 종료일자
물리모델링
- 수퍼타입/서브타입 변환 -> 개별테이블로 변환 통합하여 전환 하나의 테이블로 전환
- 역정규화
- 역정규화는 정합성과 확장성을 방해한다.
- 역정규화를 해야하는 이유는 성능과 개발 생산성 관점이다.
고객번호가 여러개라서 별도의 테이블로 정규화한 경우에 전화번호가 가로로 모두 나와야 한다면 역정규화가 필요함
- 집계테이블 : 일부의 집계테이블도 물리모델링 단계에서 역정규화가 가능하다
- 최소화 : 개발생산성과 성능이란 두 가지 관점에서 역정규화는 필요하다. 하지만 역정규화는 정합성과 확장성을 해치기 때문에 최소화 되어야 한다
- 성능관점의 역정규화는 데이터 이행 이후에 고려하라
erwin 산출물
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isHttpsRedirect=true&blogId=noranja69&logNo=220467759995
정규화
- 참고
- 테이블간에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다. 무결성
- 1정규화 : 테이블의 컬럼이 원자값을 갖도록 테이블을 분해
- 2정규화 : 완전 함수 종속을 만족하도록 테이블을 분해
공통코드 설계
- 공통코드란 데이터 속성에서 사용되는 공통적인 값을 코드로 표현
- select, radio, checkbox
- 장점
- 데이터 유연성 : 화면 수정없이 공통코드를 추가,삭제
- 데이터 명칭의 일관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