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buntu
기본명령어
| 명령어 | 설명 |
|---|---|
| pwd | 현재 위치 확인 |
| cd | 디렉토리 이동 |
| ls | 디렉토리 안 내용 출력 |
| ls -a : 숨긴 파일 모두 출력 | |
| ls -d : 디렉터리 자체의 정보 출력 | |
| ls -i : 첫번째 행에 inode 번호를 출력 (inode: 파일, 디렉토리에 관한 정보를 가지는 숫자) | |
| ls -F : 파일 종류를 표시 (*: 실행 파일, /: 디렉터리, @: 심볼릭 링크 파일) | |
| ls -L : 심볼릭 링크의 경우 원본 파일의 정보 출력 | |
| ls -R : 하위 디렉터리의 목록 출력 | |
| mkdir | 디렉터리 생성 |
| mkdir -p 폴더/하위폴더 : 하위 디렉터리를 계층적으로 생성할 때 중간 단계의 디렉터리를 자동 생성해 줌 | |
| rmdir | 디렉터리 삭제 |
| rmdir -p 폴더명 : 지정한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 부모 디렉터리가 빈 경우 같이 삭제 |
파일 관련 명령어
| 명령어 | 설명 |
|---|---|
| cat | 파일의 내용 출력 |
| cat -n : 행 번호를 붙여서 출력 | |
| more | 파일의 내용을 화면 단위로 출력 |
| more +행번호 : 출력을 시작할 행 번호를 지정 | |
| less | 파일의 내용을 화면 단위로 출력 |
| j : 아래 방향키 | |
| k : 위 방향 키 | |
| space bar, Ctrl + f : 다음 페이지로 이동 | |
| Ctrl + b : 이전 페이지로 이동 | |
| /문자열 : 해당 문자열을 찾아줌 | |
| q : 종료 | |
| head | 파일의 첫 번째 행부터 n 행까지 출력 |
| head -숫자: 출력할 행 수를 지정 | |
| tail | 파일 뒷부분의 n행을 출력 |
| tail +숫자 : 지정한 행부터 끝까지 출력 | |
| tail -숫자 : 뒷부분의 n행부터 끝까지 출력 | |
| tail -f : 파일 출력을 종료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계속 출력 | |
| cp | 파일이나 디렉터리 복사 |
| cp -i : 파일을 덮어쓸지 물어본다 | |
| cp -r :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 지정 | |
| rm | rm :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 |
| rm -i : 삭제 여부를 묻는다 | |
| ln | ln : 파일 링크 생성 |
| ln -s : 심볼릭 링크 파일 생성 | |
| touch | 빈 파일 생성 |
| greb | (파일 내 검색) 지정한 패턴이 포함된 행 찾기 |
| greb [옵션][패턴] [파일] → 패턴과 파일명 헷갈리지 않기 | |
| greb -i :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 | |
| greb -l : 지정한 패턴이 포함된 파일명 검색 | |
| greb -n : 행 번호 출력 | |
| find | 지정한 경로에서 검색 조건에 맞는 파일 찾기 |
| find [경로][검색 조건] [동작] | |
| find -name filename : 파일명으로 검색 | |
| find -type 파일 종류 | |
| find -user 사용자 : 지정한 사용자의 소유 파일 검색 | |
| find -perm 권한 : 지정한 권한과 일치하는 파일 검색 | |
| find [검색 조건] -exec 명령{}\ : 검색된 파일에 명령을 실행 | |
| find [검색 조건] -ok 명령{}\ | |
| find [검색 조건] -print | |
| find [검색 조건] -ls | |
| whereis | 지정된 경로에서 명령의 바이너리 파일이나 메뉴얼 파일의 위치를 찾음 |
| whereis -b : 바이너리 파일만 검색 | |
| whereis -m : 메뉴얼 파일만 검색 | |
| whereis -s : 소스 파일만 검색 | |
| which | 명령 파일의 위치를 찾아 그 경로를 추적 |
문서 편집 관련 명령어
vi : 지정한 파일 편집
| 구분 | 명령 | 설명 |
|---|---|---|
| 명령모드 | q, q! | 종료, 강제 종료 |
| w | 파일 저장 | |
| wq | 저장 후 종료 | |
| wq! | 강제 저장 후 종료 | |
| ZZ ,shift + zz | 작업한 내용을 저장하고 vi 를 종료 | |
| 파일 명령 | :r 파일 | 지정한 파일을 읽어 들여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|
| :e | 지정한 파일로 전환 - 저장 완료 후 가능 | |
| :n | vi 시작 시 여러 파일을 지정했을 경우 다음 파일로 전환 | |
| 셀 명령 실행 | :! 셀명령 | vi 작업을 잠시 중단하고 셀 명령을 실행. 다시 vi 로 돌아오려면 ENTER 누르기 |
| :sh | vi 에서 빠져 나와 셀 명령을 실행. 다시 vi 로 돌아오려면 exit 를 입력 | |
| 환경 설정 명령 | :set nu | 파일 내용의 각 행에 행 번호를 표시 |
| :set nonu | 행 번호 표시를 취소 | |
| :set list | 눈에 보이지 않는 특수 문자를 표시 | |
| :set nolist | 특수 문자 표시를 취소 | |
| :set showmode | 현재 모드 표시 | |
| :set noshowmode | 현재 모드 표시 취소 | |
| :set | set으로 설정한 모든 vi 환경 설정 값을 출력 | |
| :set all | 모든 vi 환경 변수와 현재 값 출력 | |
| 입력 모드 전환 | i,a, o | 현재 커서 위치, 커서 다음,커서 아래행에 글자 입력 |
| I,A, O | 현재 행 처음에, 행 마지막에, 위 행에 글자 입력 | |
| 커서 이동 | hjkl | 왼 아 위 오 |
| w, b | 다음 단어, 이전 단어 첫 문자로 이동 | |
| CTRL + f ,CTRL + b | 한 페이지 아래로, 위로 커서 이동 | |
| G | 마지막 행으로 커서 이동 | |
| [n] G | n 행으로 커서 이동 | |
| :행 번호 | 지정한 행으로 커서 이동 | |
| 내용 수정 | s | 현재 커서 글자를 지우고 입력 모드로 전환 |
| r | 현재 커서 글자 지우고 한 글자 입력 후 명령 모드 | |
| cw | 현재 커서 위치부터 현재 단어의 끝까지 수정 | |
| cc |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의 내용을 모두 수정 | |
| C | 현재 커서 위치부터 행의 끝까지 수정 | |
| 내용 삭제 | x , X | 현재 커서 위치의 한 글자, 이전 한 글자 삭제 |
| dw, db | 현재 커서 위치의 단어, 이전 단어 삭제 | |
| dd | 현재 커서 위치의 행 삭제 | |
| [n]dd | 현재 커서 위치의 아래 n 행을 삭제 | |
| d^ | 현재 행에서 현재 커서 위치 이전 행 삭제 | |
| d$,D | 현재 행에서 현재 커서 위치 이후 행 삭제 | |
| 명령 취소 | u | 이전 명령을 취소 |
| U | 해당 행에서 한 모든 명령을 취소 | |
| e! | 마지막으로 저장한 내용 이후의 것을 모두 취소 | |
| CTRL + r | 이전 취소한 명령을 취소 | |
| 복사,붙여넣기 | yy | 현재 커서 위치의 행을 복사 |
| [y] | 현재 커서에서 아래의 n 행을 복사 | |
| p, P | 현재 커서 위치 아래 행에, 위 행에 붙여 넣기 | |
| yw,yb | 현재 커서 이후 단어, 이전 단어 복사 | |
| 검색 | /문자열 | 문자열을 아래 방향으로 검색 |
| ?문자열 | 문자열을 위 방향으로 검색 | |
| n, N | 다음, 이전 문자열 검색 | |
| 바꾸기 | :s/문자열1/문자열2 | 현재 커서 위치 행에서 첫 번째 나오는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변경 |
| :%s/문자열1/문자열2 | 파일 전체에서 모든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변경 |
서비스 관리
| 구분 | 명령 | 설명 |
|---|---|---|
| 서비스 | systemctl | 서비스 제어 |